브랜드 해시태그 활용전략(강의필기)- 2015(8.12)
박찬우 대표
- 소셜미디어 마케팅을 하면서 기업들이 해시태그를 많이 사용하고 있는데 과연 해시태그가 무엇이고 사례는?
- 아직은 국내에서 해시태그를 제대로 사용하고 있지는 않은 거 같다
#검색(다음)
- 해시 : 해시는 C언어를 사용할때 #은 모든 명령어보다 우선적으로 처리하라는 것
- IRC에서 테이터를 그룹핑하는데 처음 사용

- 크리스 메시나가 2007년 10월에 캘리포니아에서 산불이 나니까 해시태그를 달고 산불에 대한 트윗을 사용
- 2009년 이란 부정선거 의혹 시위에서 #을 사용
- 트위터로 사람들을 시위에 동원하는데 사용
- 트위터에서 해시태그에 대한 제안을 받아들이면서 링크 기능을 부여해 줌
- #를 클릭하면 관련 키워드가 검색되는 기능
- 테이터가 많아지면서 카테고리를 분류해주는 것 결국 검색이 잘되라고
- 태그를 정보를 구분하기 위해서 사용하다가 카테고리 분류로 사용되고
- 인스타그램은 비주얼 컨텐츠이기 때문에 텍스트가 많이 않아서 해시태그가 유용하게 사용됨
- 기능적이면서도 재미있어야
* #OOTD : Outfit Of The Day, 오늘 입을 옷
최근 데일리 룩과 함께 해시태그(#)를 붙여 가장 많이 사용되는 단어
- 친구의 친구와 관계를 확장해 나가는
- 느슨한 관계의 확장
- 소셜미디어에서 나누는 얘기가 별로 공감이 잘 안되는 것으로 인한 소외감(?)
- 공통의 관심사로 다시 모이기 이것이 해시태그의 활용성
- 버티컬 소셜 네트워크
- 자기 컨텐츠가 많이 홍보되게 하기 위해서 기업들이 해시태그를 사용
- 소셜에서 인증샷은 이제는 너무 식상하다
- 인증샷 사진들이 너무 수준이 떨어지는 사진들이 올라온다
- 우리 것을 찍어서 퍼트려 달라는 요청
- 예) 대림 미술관
re그램(?)
- 해시태그가 문제가 아니라 사람들이 어떤 정보를 공유하는지를 먼저 생각해라
- 코카콜라 사례
- 포토 에세이?
> #TheBestInMyLife 캠페인은 메르세데스-벤츠가 진취적인 현대인의 공감을 얻고 영감을 불러일으키는 브랜드로 나아가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브랜드 홍보대사뿐만 아니라 메르세데스-벤츠를 사랑하는 팬들 또한 그들 인생의 최고(The Best)는 어떤 의미인지 생각해보고 소셜 미디어를 통해 자신의 이야기를 공유함으로 더 값진 인생에 대한 소통의 장을 마련하고자는 캠페인
월드 챔피언 스포츠 클라이머 김자인 선수, 그 세 번째 이야기. 암벽 위에서 늘 강인하고, 카리스마 넘치는 모습의 그녀, 그녀에게 있어 인생의 즐거움은 무엇일까요? 포토에세이를 통해 김자인 선수의 반전 매력을 느껴보세요! What is the Best in Your Life? #TheBestInMyLife
Posted by Mercedes-Benz Korea on 2015년 8월 24일 월요일
https://www.facebook.com/hashtag/thebestinmylife?source=feed_text&story_id=895263360553207
- 사람들이 참여를 높이는 방법
- 코카콜라 캠페인
- 끝에 살짝 보여주는 방식
- 소렌토 런칭 캠페인 황당 스티커
- 차량 소유자들은 차에 뭔가를 붙이는 것 자체를 싫어 한다
- 거기다 매장에 가져가면 주는 허브차는 남자들이 과연 좋아할 것인가?
- 이벤트가 별로 좋은 사례는 아닌 것 같다
- 자동차의 경우 런칭 캠페인은 매우 중요한데 좀...
- 소셜이든 어디서든 마케팅에서는 사람들이 어떻게 행동하는지를 먼저 생각해야 한다
- www.hashtracking.com
- 유료 사이트인 하지만 해시태그에 대한 분석은 잘된다
- 닛산에서 새로운 전기자동차 출시하면서 6배 저렴하다는 것을 강조한 캠페인
- 실시간 해시태그로 오레오 성공사례
- 다 같이 사용하는 것이 좋다
- 하이서울을 대체할 서울 나타내는 표어 캠페인
- 고객들이 놀 수 있는 놀이마당을 만들어 주는것이 중요하다
- 지속성을 가지는 것이 좋다
- 단발성 보다는 지속적으로 하는 것이 좋다
- 식당에서 먹어본 메뉴를 먹고나서 그것을 찍어서 올리는 것
- 다른 고객들이 그것을 검색해서 볼 수 있도록
- 고객들이 즐겁게 참여할 수 있도록
- 도시 영상을 찍어서 보내면 모아서 뮤직비딩로 만들어 주겠다
- 고객들의 경험을 서로 연결해주는 것
- 홈페이지에서 해시태그를 모아서 보여 주는 것
- 해시태그는 소셜의 다양한 채널에서 사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모아서 한꺼번에 보여주는 것이 필요하다

- 폴라, 포스트에서 # 사용
- 검색만 되는 것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고객들이 랜딩페이지로 들어와야 한다
제2강의 브랜디드 필림, 동영상 마케팅
- 김형택 대표
- 소비자 자체가 동영상에 포커스가 되고 있다
- 모든 컨텐츠의 소비 주체가 모바일로 이동하고 있다
- 기업들은 아직도 텍스트와 이미지 중심으로 마케팅을 하고 있다
- 유튜브를 중점으로 하는 V로거
- 방송이 장소와 시간, 장비의 제약이 없다
- 동영상이 바로 컨텐츠가 되는
- 스냅켄텐츠, 간단간단하게 별 생각없이 즐길 수 있는 컨텐츠
- 택스트보다는 동영상이 인지가 더 늘어난다
- 모바일
- 고객의 소비형태가 변화하면서 트렌드가 확장을 하면서 기업들은 고객들과의 접점을 확장하기 위해서 동영상으로 채널을 확장하는 것
- 이제는 더이상 메세지 공유가 잘 이루어지지 않는다
- 더이상은 소비자들이 기업에 끌려다니지 않는다
- 소비자들을 규정짓고 타켓 마케팅을 하기가 어렵다
- 소비자들이 변화무쌍하다
- 채널은 너무나 다양하고 광고가 너무 많다 그래서 광고 메세지에 반응하지 않는다
- 소비자들이 스스로 즐겁게 주도적으로 반응할 수 있는 컨텐츠를 주어야 한다
- 메세지가 아닌 컨텐츠여야 한다
- 기업들이 컨텐츠를 통해서 마케팅을 하고 있다
- 컨텐츠도 너무 많은 종류가 있다
- 인터넷 초창기부터 컨텐츠가 중요하다고 늘 강조해왔다
- 고객들이 좋아하고 공유가 잘 되는데 컨텐츠는 엔터테이먼트 속성을 가지고 있다
- 브랜디드 엔터네이먼트 : 음악, 영상, 공연, 게임, 스포츠 등이다
- 게임이 접근성이 우수한 편이라서 기업들이 게임기법들을 많이 사용한다
- 예) 현대카드의 슈퍼콘서트
- 1900년~ PPL
- 1998년 동영상 배너광고 : 보다 다양한 시도가능
- 2000년 바이럴 비디오 : 입소문으로 기업의 인지도 높이기 위한 동영상으로 확장
예) 버거킹 말 잘듣는 닭 캠페인
키워드를 칠 수 있는 창이 있고 그 키워드를 입력하면 닭이 그대로 행동하게 하는
- 바이럴 비디오에도 한계는 있다. 기업이 담고 싶은 내용을 전부 담기는 쉽지 않다
예) BMW 하이어 (총 6편)동영상 광고 존우 감독
BMW에 대한 인식이 대부분 중장년층이 타는 차라는 이미지, 20대들이 갖고 싶어하는 자동차로 어필하고 싶어서 만든 광고
- 20대들은 인터넷을 즐기고 영상과 음악을 즐기고 공유, 확산한다는 것에 착안해서 단순한 동영상이 아니다
- 007 첩보영화같은 다이나믹한 영상을 만들어서 20대들에게 어필
- 20대 매출이 늘어남
- 2003년 타임지 올해의 인물 UCC
- 기업들이 UCC 마케팅, 최근에는 컨텐츠 제너레이션 마케팅
- 고객들이 친근한 친구들의 사용평을 통해서 마케팅 효과가 높다는 것에 착안
- 트위터, 페이스북이 등장하면 다양한 플러그인이 사용할 수 있어서 소셜무비 기능
- 내 친구나 내 사진, 글, 장르를 불러와서 소셜무비를 만들수 있게
- 기존에 있던 광고나 새로 만든 영상에 고객이나 고객의 친구들이 등장하게
- 인텔 자신만의 박물관이 전시되도록 한 광고
오르골 사운드를 고객이 키워드를 치도록 해서 음악이 나오도록하는 소셜무비 광고
- 드라마도 단순하게 만드는 것이 아니라 소셜미디어에 고객들이 참여할 수 있도록
- 고객들의 의견에 따라서 스토리를 전개해 나가는 식으로, 고객의 참여를 유도
-Vlogger 블로거가 아니라 비디오로거
- 유튜브 채널에 구독자가 많은 브이로거
- 미어켓 : 실시간 중계가 가능한 서비스
- 패션쇼, 상품발표회를 실시간으로 중계를 해서 고객들에게 실시간 의견을 받아서 마케팅 을 하는 방식
- 스냅쳇, 바잉 등
- 기업의 마케팅 전략으로 활용할 것인가?
- 기업 마케팅에는 분명한 미션이 있다
1) 우리의 미션?
4) 컨텐츠로 다루어야 할 내용들
1) 컨텐츠 전략수립(기획)
-
- 컨텐츠, 고객의 경험,
헬프 컨텐츠로 사용법이나 제품 설명을 한다
- 흥미, 재미가 있어야
- 제품의 데모, 실험동영상, 제품의 기능을 알려주는 동영상
- 예) 샘소나이트 가방의 가벼움을 닭과 지렛대를 사용해서 알려주는
- 후기 동영상, 활용 동영상
- MCN 고객들은 실제도 사용한 진실성
- 패션, 헤어, 미용 부분은 이미지와 동영상 먼저 찾는다
- 이미지와 동영상 부분을 넓혀 놓아야 한다
- 블로그를 기반한 리뷰 마케팅도 이미지와 동영상을 중심으로 해야 한다
- 고객의 질의응답을 통해서
-
- 반복성
- 의외성
- 컨텐츠에서 사람들에게 주목을 받을 수 있다
- 가족, 몰래카메라, 의외성 반전, 감동코드로 너무 획일적이다
- 기업만의 독특함이 부족하다
- 재미만 있는 광고는 광고 효과가 떨어진다
- 소비자, 매체도 변하고 광고 채널이 동영상이 부각
- 고객들이 광고를 보지 않기 때문에
- 고객들이 좋아하고 남들이 보기에 있어보이는 것을 공유하게 하는 컨텐츠를 만드는 것이다
- 이제는 직접적인 광고는 먹히지 않는다
- 재미있고 유익하고 모바일에서 소비될 수 있도록
- 모바일에서는 텍스트를 읽지 않는다 훓터본다는 것
- 이제는 실시간으로 영상을 만들어 낼 수 있는 시대이다
- 고객들이 원하는 그 순간에 개입할 수 있어야 한다
'성공CEO 경영전략'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5년 웹월드 컨퍼런스 강의 내용 -2015(11.18) (0) | 2015.12.28 |
---|---|
창조경제, 성과와 과제 세미나 필기- 2015.10.26 (0) | 2015.12.28 |
K-MOOC 세미나 강의 필기 - 2015.1.16(코엑스) (0) | 2015.08.04 |
웨어러블 테크비전 세미나 2015 노트필기 (0) | 2015.07.25 |
웹월드 인사이트 컨퍼런스 2015 강의 내용 요약 (0) | 2015.07.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