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이미지
최고경영자과정
CEO가 되기위해 필요한 모든 것에 대한 블로그. CEO리더십, CEO 경영전략, 글로벌 트렌드, 최신 컨퍼런스 정보, 글로벌 핫이슈, CEO 명언 등등 CEO에 관련된 모든 자료를 제공할 수 있는 블로그

calendar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Notice

2015. 7. 25. 17:46 성공CEO 경영전략
웨어러블 테크비전 세미나 2015
- 2015.5.28(목)
- 상암동 중소기업DMC센터

제1강의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시장동향
- 김석기 모폰웨어러블스 대표



* 구글 글래스는 왜 실패?
- 밧데리 시간이 너무 짧다 2시간 정도
- 너무 비싸다
- 너무 들어나 보여서 눈이 띈다
-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디자인이 더 중요할 수 있다 내가 직접 내몸에 부착하는것이기에 패션이 더 중요할 수 있다는 것

* 어뎁션 코드
- 어얼리어덥터 이후에 초기 사용자로 가면서 갑자기 수요가 줄어드는 증상이 캐즘
- 사실 제품중에 이 캐즘을 넘어서는 제품이 별로 많이 않다는 것

*  2015년에 웨어러블 디바이스들이 캐즘을 벗어나는 듯한 모습
- 10억개 중에 481개가 스매트워치 판매
- 갤럭시 판매량의 0.4% 정도만 갤럭시기어 판매
- 세컨 디바이스 정도가 되려면 테블릿 정도의 점유율은 나와야 약 20%정도



* 요즘은 스마트폰이 대부분의 디바이스를 대체
- 스마트폰이 대체 못하는 제품군은 
- experience : 악기와 같은 전문 음악제품 같은 것, 영화관에서 영화를 보는 것 스마트폰으로 경험하지 못하는 것을 제공하는 경우

- professional : 전문적인 카메라 같은 제품

- Co-operation : 스마트폰의 기능을 확장하는 제품군

* 1차 디바이스 : 컴퓨터, 슴마트폰
- 2차 디바이스 : 태블릿
- 3차 디바이스 : 구글글래스, 스마트워치 같은 것

*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1차 디바이스가 되기 위해서는 
- 스마트폰에 의존한 네크워트
  LG 어베인은 유심을 넣어서 스마트폰에서 독립적인 기능을 수행
- 정보량이 제한된 디스플레이
: 플렉시블 스크린 등을 적영
- 배터리 시간 부족

- 터치에 비해 불편한 UX
: 뇌파 이용 같은 디바이스가 나오면 가능

* 애플 워치

* 삼성Tizen

* 애플 워치
- 삼성증권 2100만대 예측
- 애플워치가 상당히 성공을 했다는 것
- 미국에서는 이미 애플 워치를 구할 수가 없다
- 물량이 딸리는 상황
- 애플 워치의 성공 요인은 오바마케어 덕분
- 스마트 웨어러블을 착용하고 운동을 하면 보조금을 제공하는 프로그램 덕분에 애플 워치가 성공
- 갤럭시기어 상당히 타격, 할인을 강행 중



* 애플 페이
- 비콘에 의해서 나를 감지하고 애플애드가 날라오면 상점에 들어가서 제품의 정보를 파악하고 결제까지 가능하도록
- 애플의 아이튠즈와 연계에서 에코시스템을 애플페이로 완성했다는 것이 중요

* 애플과 구글이 전체 시장의 80%를 치지하고 나머지 20%를 가지고 다른 기업들이 
- 결국 시장에서 다른 기업들은 사라질 것이다

* 상상력이 기술에 의해서 현실화되는 것이 웨어러블 디바이스 시장이다



* 디스플레이는 일반 안경과 구분할 수 없을 정도의 디바이스가 나와야 성공할 것이다
- 스마트폰을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대신 할 수 있어야
- 입력은 뇌파로 디스플레이는 안경으로 하는 식으로
- 내가 생각을 하면 메세지 발송이 가능한 때가 올 것이다



제2강의 패셔노이드 : 전자직물기반 패션웨어러블
- 김주용 숭실대 패셔노이드 연구센터



* 전기가 통하는 섬유직물 연구 : 전자섬유
- 세탁도 가능하고 접을수 있고 축축 처지는 직물
- 필름가지고는 안되고 아주 가는 실을 사용
- 실로 직물을 만들수 있는 대량생산이 가능한
- 전기 통하는 실
- 전자파 문제는 거의 나오지 않는다 전자파는 교류에서 주로 나오는데 아주 가늘어서 전자파 문제가 없다

* 전자섬유 장점
- 텍스타일도 가능하고 직조에 의해서 패턴도 만들수 있다


* kbs 뉴턴의 사과나무 프로그램에 소개
- 섬유공학과인데 전자섬유로 인해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직접 패션으로 제품을 만들면서
- 전기가 통하는 잉크도 있어서 실크스크린을 하기도 한다
- 전기가 통하는 의류패션쇼도 가능하다
- 압력을 느끼는 섬유로 블루투스 기능으로

* 핑거터치 섬유

* 핑커프레스 섬유
- 빅데이터 신발 
- 헬스케어분야에 활용

* 거리감지 센서를 가진 작업복
- 지게차 작업자 안전

* 소비자의 사용성을 고려한 제품을 개발해야 한다

* 5.18 sbs뉴스 
- 패션, IT와 만나다

* 실용적인 것은 센서들이 시장을 열고 있다

* 아두이노와 3D 프린터가 가장 많이 활용되고 있다

* 전도성 실
- 다양한 제품이 있다
- 전도사, 탄성사, 도금사 등등 용도에 따라서 다양하게 만들어서 활용
- 활용하는 분야에 따라 적절하게 개발해서 사용하는 것이다

- 가운데 스판텍스 선을 넣고 주위로 구리선을 싸고 밖을 일반실로 3층 구소

* 재봉이 되려면 잘 늘어나 줘야 하기 때문에 3층 구조로

* 전도성 스크린 프린팅
- 전도성 잉크로 실크스크린을 하고 보호막을 도포하는 방식으로

* 전도성 에칭

* 전사 텍스타일
- 판박이 방식

* 자수 전자공학
- 자수의 각도나 범위, 실의 양에 따라서 다 달라져서 연구중
- 회로 설계를 자수를 활용해서 연구중이다

* 핑거 프레스 섬유
- 천인데 누르면 스위치가 들어오는
- 소프트 스위치로 활용, 의류에 활용

* 핑거 터치섬유
- 천은 질감을 바꿀  수 있다는 장점
- 일반 핸드폰 터치와 같은 방식

* 전자피부 섬유
- 스마트 신발
- 신발 깔창
- 장기환자 욕창에 활용 : 현재는 침대사이즈면 거의 천만원
- 침대회사에서 침대 메트리스에 활용
- 압력을 측정해서 교정치료도 가능하다

* 감성 조명용 리모컨 쿠션
- 필립스 스마트전구 휴 : 블루투스로 연결해서 조명의 색깔을 변화시키는 것



* 빅데이터 슈즈
- 센서 가격이 비싸고 촉감이 않좋아서 섬유로 만들면 촉감도 좋아지고 
- 사용자의 걸음걸이 습관을 분석해서 조언을 하는 것

* 운동선수들의 운동량을 측정하는 신발
- 평창올림픽 선수들에 전자섬유를 많이 활용하고자 시도 중이다

* 거의 대부분의 기술은 중국 심천에 다 있어서 시제품은 심천에 의뢰한다
- 칩도 대부분 심천에서 구입해 온다

* FootLoger

* digitsole
- 발의 건강을 측정하기 위한 압력점센서 4개
- 센서 1개당 7천원 정도 현재는 신발 한짝에 적용하려 해도 가격이 비싸서 전자섬유 방식으로 개발되야 저렴해진다

* 섬유로 적용할 때는 속도가 중요 바로 회복이 되지 않으니까 움직임이 많은 경우 측정이 어려운 문제
- 한번에 섬유를 직조하는 방식으로

* 가운데 구멍이 있는 실 중공사
- 구멍 가운데에 전기가 통하게 하면 압력에 의해서 반응이 일어나도록 
-  보온성, 가볍다는 장점

* 스마트 양말 sensoria
- 양발은 세탁이 문제

* 스마트 벨트 The Belty

* 4D 프린터

* 장갑에 블루투스로 통화가 가능하도록하는 것
- 노스페이스에서 이미 출시한 제품
- 등산하다가 스마트폰 전화 받다가 부상당하는경우가 많아서

* Corning 자동차에 적용

* 이제는 얼마나 가볍고 편하게 만드느냐 하는 것이 문제이다

* 안전복에 적용할 부분이 많다
- 개인용 에어백 : 오토바이 타타 사고날 경우 옷이 에어백으로 변하는 것






제3강의 스마트워치를 통해본 웨어러블 진화와 전망
- 박민우 청강문화산업대 모바일스쿨 교수 / 유니비스타 대표

* 근대에서는 시계가 노동은 관리하기 위해서 중요했는데 지금은...

* 최초의 스마트워치는 소니 에릭슨 2006년
- MBW100
-블루투스 통신으로 스마트폰 메세지 확인하게 하는것
- 실패한 제품

* 애플 워치 : 조나단 아이브
- 애플 워치가 스위스 시계산업을 곤경에 빠지게될 것
- 웨어러블 디바이스 시장의 천병이 된다는 것이 아니라 스위스 시계 시장을 공략??
- 웨어러블 시장은 아직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새로운 시장을 만들기는 어렵지만 애플 워치가 시계라고 말을 하면 기존 시장에 진입하는 것이 휠씬 더 효과적
- 기존 시계 시장은 기술과 기능이 아니라 디자인 테크놀러지를 부각시킴
- 시계는 패션이라고 광고
- 애플 워치는 예뻐서 사야 한다
- 일단 이뻐서 사게 하고 그 다음에 애플 워치의 사용법을 학습 시키는 것이 효과적이다

* 애플은 새로운 것으로 성공하는 경우가 거의 없다
- 애플은 새로운 것보다는 기존에 있는 것을 더 효과적으로 조합해서 기존 시장을 공략

* 애플 워치
- 애플워치 스포츠
- 애플 워치
- 애플 워치 애디션 3종류
- 스위스 시계의 경쟁상품은 절대 아니다
- 애플이 스위스 시계의 디자인을 따라가기는 어려운데 1969년 스위스 시계의 암흑기를 가져온 세이코의 퀴츠방식 도입 기계식 시계에 비해 전자식 시계 정확성을 가지면서 가격은 거의 1/10 - 덕분에 스위스 시계 회사의 절반을 도산하게 만듬

* 1983년 스위스 스와치가 역습
- 디자인가치와 브랜드 파워를 활용한 마ㅔ팅 전략
- 싸고 품질인 좋은 시계로 엄청난 성공
- 세이코의 약점은 이쁘지 않다는 것 스위스 시계의 장점은 패셔너블 하다는 것
- 스와치가 스위스의 시계회사 17개 인수 10년만에 스위스이 가장 큰 시계회사 그룹이 됨
- 세이코는 이제는 거의 존재감이 없다
- 이제 시계는 시간을 보기 위한 도구가 아니다 와치가 아니라 타임피스이다 Timepiece

* 세계 시계 패션 트렌드는 남성 시계 중심
- 여성 시계는 주얼리가 중요 
- 남성과 여성의 시계에 대해 극단적인 디자인 차이 그것은 자동차와 비슷
- 남자는 차와 시계에 목숨을 건다

* 스팀펑크
- 증기기관을 뜻하는 스팀과 사이버 펑크 첨단공상과학소솔을 합성한 용어로 향후 수년간 유통산업의 트랜드로 지속 전망
- 첨단인 것 같으면서도 구식인 기계
- 매드맥스 분노의 질주, 하울의 움직이는 성과 같은 이미지

* Devon Watch
- 스팀펑크 스타일의 시계

* 스위스 럭셔리 시계의 핵심 경쟁력은 엄청난 복잡함?
- 정교함, 월력을 계산하고 다른 나라의 시간을 볼수 있는 절대 수작업, 대량 생산이 안되는...
- 톱니바퀴의 미학 그것을 수작업으로
- 약 20억까지 나가는 시계
- 시계를 좋아하는 사람들은 다 안다?

* 톱니바퀴의 미학 대 디지털 디스플레이의 싸움
- 손목에 차면서 움직이기 시작하도록
- 중력에 의한 오차를 보완하기 위한 것이지만 결코 디지털 시계의 정확성은 못따라오는데 시계에 심장이 존재하는 것 처럼
- 아름답다고 느끼게 해준다는 것
- 3년전에 주문해야 제작이 가능한 완전 수작업 

* 애플 워치가 다른 스마트 워치와 다른 점
- 버튼 말고 시계 옆에 시계를 맞추는 나사를 도입
- 이것을 통해서 보다 시계처럼 보이게 또한 화면이 작은 것을 보완
- Digital Crown 기능적으로는 불필요할 수는 있지만 혁신적인 UX 도구이다
- 누르는 정도에 따라 다르게 기능하는 Force Touch 직접 작동을 해봐야 알 수 있다 
- 기존의 압력 터치와는 전혀 다른 기술이다

* 갤럭시 기어 Orbis
- 시계 자체를 돌려서 동작이 되도록
- 직관적인 오프라인 UX는 아니지만 가능성 시사

* 타임피스 시대의 스마트 워치의 역할은?
- 카메라, 리코더, 음악, 메세지, 패션 등등
- 스마트 워치가 스마트폰을 벗어날 수 있는가 하는 것이 문제

* 애플 워치 덕분에 스위스 시계들이 대동 단결
- 스마트워치를 내놓겠다 압도적인 디자인 능력
- 반 애플 세력인 구글이 분명이 함께 할 것이다
- 현재 다양한 제품들이 시도되고 있다
- 스위스 시계는 액정이 아닌 스마트워치를 시도
- 새로운 하이브리드 스마트워치 가능성



* KAIPOS
- 한국인들 5명이 미국에 설립한 시계회사
- 스마트워치로 유명해 짐
- 반투명 액정활용 기능이 필요할때만 터치 스크린으로
- 기능은 다 하면서 외형은 기존 시계 디자인을 유지

* 스마트 워치로 무엇을 할 것인가?
- 헬스케어와 핀테크로 쿠게 구분
- 헬스케어도 애플이 선점
- 생체신호를 수집하는 것이 가장 중요한데 웨어러블은 신체 곳곳에 디바이스를 부착하는 방식인데
- 애플은 워치에 생체신호 10개정도를 수집할 수 있는 센서 부착
- 갑자기 누구나 알고 있는 생체신호 수집이외에  매디컬 리서치 기능 강조
- 의료 서비스를 받기 위해서 리서치 킷을 연구자들에 도움을 줘서 5대 만성질환 임상연구용으로 사용하겠다 
- 생체신호 정보를 애플이 아닌 병원에서 활용하겠다고 공익을 들고 나옴
- 애플 워치 사용자들이 하루만에 1만명이 싸인
- 애플은 정보를 절대 사용하지 않고 병원에 전달만 하겠다고 해서 해결

* 그래서 애플이 얻는 이익은?
- 지구 인구 중 거의 1/5이 만성질환자
- 애플은 의료계와 고객이 소통하는 방식을 혁명적으로 바꿔놓을 것이다
- 소비자를 먼저 공략한 것이 아니라 공급자를 먼저 공략

* 아이폰도 개발자들을 위한 아이튠즈를 만든 것 처럼 헬스케어 시장에서 공급자는 의료진이다
- 애플이 협력관계에 있는 의료센터를 고객들과 연결해 준 것이다

* 애플의 핀테크 전략
- 금융권의 개혁이 필요
- 금융은 안정성과 신뢰가 중요
- 더이상 고객들은 은행을 신뢰하지 않음 서브프라임사태 덕분에
- 오히려 핀테크의 선두주자는 애플, 구글, 아마존, 알리바바가 주도

* 모바일 결제
- 단순히 지문 인식이나 비번만으로 결제가 가능
- 우리나라만 그게 안되서 간편결제가 있다

* 전자지갑, 간편결제
- 우리나라는 송금과 결제가 다른 방식으로 인식된다 그 이유는 신용카드가 너무 많아서 그렇다

* 우리나라 신용카드 발급건수가 1억장
- 신용카드 발급가능 인구가 2500만이니까 
- 우리는 송금 거의 사용하지 않는데 중국 알리바바는 중국 신용카드 발급 가능 인구가 1%도 안되서 결국 전자지갑 방식이 더 편리 
- 미리 전자지갑에 돈을 넣어놓고 사용

* 애플 페이 - 5억명
- 이베이 페이팔 1억 4명
- 알리페이 - 2013년 결제액 650조, 하루 평균 1조8천억 단위거래 8억2천명 사용자
금융업 라이센스 취득
- 아마존 페이펀드 2억1천만 신용카드정도 보유

* 간편결제를 스마트워치로 대체
- 얼마나 편할지는 모르지만 일단 편해지면 다시 돌아오지 않는다는 것이 문제이다
- 스마트워치로 결제하다보면 지갑에서 신용카드를 절대 꺼내지 않게 된다는 것



* 경로의존성
- 사용자들을 낙인시키는 전략
- 일단 익숙해지면 더 좋은 서비스가 나와도 웬만해서는 바꾸지 않는다

* 기존 시계 산업과 공존할 것이다 시장이 좀 다르다
- 스마트워치는 내년에 애플워치2를 사는게 좋다고 생각된다

제4강의 헬스케어 웨어러블의 최신 동향과 주요 이슈들
- 최윤섭 성균관대학교 휴먼ICT융합학부 교수

* 스마트 워치
- 웨어러블 디바이스 이슈
- 웨어러블과 스마트폰 내장형식으로 크게 구분

*어떤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가장 정확한가?
- 밴드 방식볻 스마트폰 내장형이 더 정확하다 아니다 논란 중
- 오히려 웨어러블디바이스에서 정확성이 과연 중요한 것인가? 대부분이 만보기 수준이다?

* 최소한 칼로리 소모 정도는 측정이 되야 하는데 아직은...
- 걸음수를 측정해서 칼로리 소모량을 제시해주는 방식

* BodyMedia



* 의학연구에서도 전반적인 트렌드가 더 중요할 수 있다

* 웨어러블 디바이스 Next Big Thing?
- 아직은 사용자가 20% 내외
- 글로벌로 6% 정도만 보유

* 웨어러블 디바이스 사용 정도
- 사람들이 귀찮아서 사용을 별로 하지 않는다
- 충전도 자주 해야 하고 좀 지나면 별로 차별화되지 않음
- 구매 후 착용기간이 그다지 길지 않다
- 우리끼리는 웨어러블 관심이 많지만 아직은 상용화는 아니다
- 아직은 쓸모가 별로 없다
- 6개월 정도가 지나면 거의 사용을 하지 않는다

*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구입하려는 수요도 별로 없고 사더라도 사용을 오래하지 않는다는 것

* 성공하는 디지털 헬스케어 서비스의 7가지조건

1) 당뇨병 패러독스
- 실제로 환자에게 가치를 제공하는가? 가치가 있더리도 환자가 잘 사용하지 않으면??
-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가장 먼저 시도되는 쪽이 당뇨병 환자들
- 혈당체크가 필요하고 매일 해야 하는데도 잘 사용을 하지 않는다는 문제
- 결국 UX문제 혈당체크는 혈액이 필요하니까 환자들이 다들 싫어하고 피하려함
- 식후에 측정을 하려면 자신의 병을 다 드러내게 되는 문제점
- 가장 좋은 것은 혈액이 없이 측정이 가능
- 눈물로 혈당을 측정한다든지 빛을 통해서 측정한다든지

2) 고객의 행동을 결국 변화시켜야 하는 헬스케어 디바이스
- 단순히 데이터만 가지고 안되고 사람들은 감정의 동물이라서 쉽지 않다는 문제
- 대부분 소셜 모티베이션을 활용 경쟁을 시키는 방식과 같은 것으로
- 반대 의견도 있긴 하다
- 인공지능이 계속 지시를 하는 것에 대한 거부감도 있다 하지만 효과가 나타나는 경향도 있고...
- 그룹으로 다이어트 하는 것이 더 효과적이라는 연구 결과도 있다

* Pavlok
-  Habit forming wristband
- 습관을 변화시키는 밴드
- 목표를 달성하면 상금을 주기도 하는 방식

* 금연의 경우도 상금이 보상이 있으면 더 효과적이다
- 다이어트도 보상이 있는 경우 더 효과적이다

* 피트니스 트레커와 보험사 연계
- 운동을 하면 돈을 주는 방식
- 보험사가 스마트밴드를 고객들에게 나눠주고 재정적인 인텐티브에 의해 더 많이 참여하도록 하는 방식
- 미국 대형 보험사도 도입









3) B2B
- 기업에서 직원들이 운동하도록 하고 보험사에 우리 직원들의 보험료를 할인해달라
- 웨어러블 디바이스 회사와도 연계

* 모든 종류의 생체신호 측정이 가능하다면?
- 무엇에 활용할 것인가?
- 이제는 개발위주는 지나갔고 직접 제품을 만들어서 시장에 진입하는 시기
- 제공되는 생체신호들이 매우 다양한 편이다 활용가능한 데이터가 많다는 것

* beyond verbal
- 멘탈까지 측정가능

* 삼성 SAMI
- 헬스키트

* 이제는 가능한 일들 정말 많아졌다
- 그것을 가지고 과연 무엇을 할 것인가?

* 유전 정보가 웨어러블과 결합하면?

* 23andMe
- 고객의 자발적인 참여에 의한 유전학 연구
- 고객들이 10개의 질문에 자발적인 응답으로 분석

- 유전 데이터베이스 구축에 관심
- 애플도 DNA 정보를 구축하려고 하고 있다
- 구글, 오바마 정부도 시작

* Pathway
- 운동과 영양적인 측면에 맞춤형 조언을 해줄 수 있다는

* OME 서비스 런칭
- IBM 왓슨 프로젝트에서 투자

* 곧 인공지능의 도움을 받게 될 것이다




posted by 최고경영자과정
2015. 7. 25. 16:23 최고경영자과정 News

정운찬 동반성장연구소 이사장(전 국무총리, 서울대 총장)과 미래창조연구원

박갑주 원장간에 창조혁신 최고경영자과정 개설 업무협약 체결




박갑주 원장은 최고경영자과정 및 CEO 교육의 대명사 그리고 인맥의 달인으로 알려져 있다. 그는 지금까지 25년간 대기업체 임원 및 중소기업체 CEO 들을 1만명 이상 교육시킨 전문 교육인이다.

정운찬 동반성장연구소 이사장(전 국무총리, 서울대 총장)과 미래창조연구원 박갑주 원장은 2015년 6월 30일 창조혁신 최고경영자과정 개설 업무협약을 체결하였다. 이에 따라 ‘창조혁신 최고경영자과정’은 2015년 10월 7일에 제 1기가 입학식을 거행 할 예정이다.

모집인원은 50명이고 교육기간은 2015년 10월 7일(수) 부터 2016년 2월 3일(수)까지이다. 교육은 강남 소재 호텔과 강남 선능역에 위치한 피에스타 귀족 VIP 연회장에서 매주 수요일 오후 6시~6시50분 식사 후, 7시에서 10시까지 강의가 진행될 에정이다.

교육대상은 공,사 기업체 최고경영자 및 임원, 정부기관 고위관리자, 군 장성, 법조인, 전문인 등 사회 지도층 인사와 이와 동등한 자격을 갖추었다고 인정되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진행되는데 학력제한은 없다.

교수진은 정치, 경제, 사회, 문화, 경영, 산업, 학계의 저명인사 및 전문가가 진행하게 된다. 교육특징은 정운찬 전 국무총리와 함께하는 앞서가는 최고경영자과정으로서 저명인사로 교수진을 편성하여 최신 경영의 5가지 핵심 키워드(창조, 혁신, 전략, 스마트, 융복합)에 대한 강의로 CEO의 글로벌 경영 능력 함양과 인적 네트워크를 구축할 수 있는 차별화된 CEO 교육 프로그램이다.

본 최고경영자과정의 교육특징은 정운찬 전 국무총리가 함께하는 앞서가는 글로벌 최고경영자과정으로서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경영 ․ 산업 ․ 학계 전반의 저명인사 및 전문가로 교수진 편성, 21세기 글로벌 경영환경에서 CEO의 핵심역량을 강화할 수 있는 교육 프로그램, 글로벌 리더십과 경영자에게 필요한 경영 Skill과 Tool을 체득시키는 교육내용 편성, 5단계(강의, 토론, 발표, 사례연구, 그룹스터디 프로젝트) 강의 방법으로 교육 진행, 리더십, 국제적 감각, 전략경영, 변화경영, 위기관리 등에 핵심역량을 강화한 프로그램, 국내․외 새로운 정치 ․ 경제 ․ 경영 분야 환경변화와 대응전략을 습득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다.




본 교육과정의 교육특전은 전 국무총리이신 동반성장연구소 정운찬 이사장 명의의 수료패 수여, 동반성장연구소 정운찬 이사장 및 미래창조연구원 원장 명의의 수료증 수여, 교육중 정운찬 이사장의 만찬 초대 및 특별 강연 개최, 100% 출석자 및 성적 우수자는 정운찬 이사장 및 미래창조연구원 원장 명의의 "Best CEO 인정서" 수여, 재학중 및 수료후 동반성장연구소의 매월 동반성장포럼 개최시 초대, 원우 기업체 탐방시 성공사례 특강 우수자는‘명강사 인정서’수여, 창조혁신CEO포럼 회원가입 및 포럼시 초청, 원우회, 동문회, 동호회 적극 지원 및 원우간 인적 네트워크 연계, 수료후 창조혁신 최고경영자과정 동문회 회원 자격부여, 동호회(골프, 승마, 드럼, 마술, 댄스, 와인, 등산 등) 활동 지원, 동문회 참여를 통한 지속적인 상호 정보 교류의 장 마련, 수료 후 동문 합동특강, 세미나, 포럼에 초대​ 등 이다.

교육 및 행사내용은 저명인사 초청강연, 최신 경영의 5가지 핵심 키워드(창조, 혁신, 전략, 스마트, 융복합)에 대한 핵심적인 내용 강의, 주요 행사(입학식, 강의, 인준식, 워크샵, 우정의밤, 동호회 활동, 단합대회, 원우 기업체 탐방, 해외시찰, 졸업여행, 수료식) 등으로 교육을 진행한다.

강의 교수진으로는 정운찬(동반성장연구소 이사장, 전 국무총리, 전 서울대 총장), 문국현(뉴패러다임 인스티튜트 대표), 김창준(워싱턴 한미포럼 이사장), 오 명(KAIST 이사장), 박갑주(미래창조연구원 원장)​, 사공일(세계경제연구원 이사장, 전 한국무역협회 회장), 이희범(LG상사 고문, 전 한국경총회장, 전 산자부장관), 김춘호(한국뉴욕주립대학교 총장), 이금룡(코글로닷컴 회장)​, 윤종록(정보통신산업진흥원 원장), 송승환(PMC프러덕션 대표), 김홍신(건국대학교 석좌교수), 이상용(방송인), 고승덕(전 국회의원, 변호사), 이영권(세계화전략연구소 대표), 윤은기(한국협업진흥협회 회장), 엄길청(시사평론가, 경기대 교수)​, 신병철(스핑클그룹 대표), 손병두(전 KBS 이사장), 송재용(서울대학교 경영대학 교수), 김난도(서울대학교 소비트렌드분석센터장), 엄용수(한국코미디언협회 회장), 김효준(BMW Korea 대표), 김영세(이노디자인 대표이사), 김영익(한국창의투자자문 대표), 백남선(이대목동병원 병원장), 김광호(콤비마케팅연구원 원장), 이장우(이장우브랜드마케팅그룹 회장), 최은수(MBN 경제부장), 한관규(전 프랑스대사관 상무관) 등이다.

주요 교육내용은 한국기업의 동반성장 전략, 디지털 컨버전스 시대의 신규 비즈니스 창출, CEO를 성공으로 이끄는 5가지 파워, CEO 미래를 대비하라, Only one 정신과 가치 경영, 신성장동력 그린 에너지, 세계경제의 흐름과 한국무역의 이해, 언론홍보의 이해와 대언론 관계 관리, 국내외 경제, 금융환경과 기업의 대응방안, 경영명장 이순신, 세상을 뒤흔든 난타, 통찰모형 스핑클, 즐거운 삶 여유있는 인생, 글로벌 강소기업과 장수기업, 30년 후의 코리아를 꿈꿔라, CEO가 꼭 알아야 할 재무관리, 생각의 틀을 바꾸면 성공이 보인다, CEO의 창조적 경영, 기업의 차별화 마케팅 전략, 창조경제와 창조경영, 스마트시대의 창조적 리더십, 세계경제 변혁에 따른 경제위기 극복 등 다양하고 폭넓은 주제를 강의한다.

또한 중국 경제의 급속한 성장과 우리의 대응, 와인의 이해와 비즈니스, 국산정치와 미제정치, 고승덕의 ABCD 성공법, 세계는 기다리지 않는다, 핵심 경제이슈 환율비상 전망과 대응, 성공적 해외시장 진입을 위한 CEO의 글로벌 마인드, 중국, 인도, 베트남 아시아 황금시장 투자전략, 혁신을 주도하는 CEO 리더십, 경쟁력 제고와 지속성장을 위한 기업전략, 경쟁력 강화를 위한 기업혁신 전략, 디지털 시대의 글로벌 문화 콘텐츠, 혁신과 스피드를 통한 글로벌 경쟁력, 세계 경영환경 변화와 CEO 글로벌 마인드, 세계지식포럼을 통해 본 한국 경제의 현실, CEO 글로벌 리더십과 변화관리, IT 융합기술과 스마트, 21세기 한국 정치의 현황과 발전전략, 세계 경영 트랜드 및 경영환경 변화 분석, 향후 국내외 경제전망과 기업의 대응방안, 한국 경제 전망과 리스크 예측 등 강의를 진행한다.

현재 ‘창조혁신 최고경영자과정’은 1기를 모집중에 있으며 입학원서를 접수하는 방법은 우편, 팩스, 이메일로 모두 접수가 가능하다. 교육상담은 전화(02-577-4440), FAX(02-577-4118), 이메일(smartamp@daum.net)로 가능하며 교육 행정실은( (143-190) 서울시 광진구 아차산로 41길 4, 2층(자양동, 대경빌딩))에 소재하고 있다.

입학원서는 홈페이지(www.smartamp.kr)에서 다운받거나 우편으로 수령 희망시 교육행정실(Tel. 02-577-4440)로 연락 하면 된다. 제출서류는 입학원서(반명함판 사진 부착), 사업자등록증 사본, 재직증명서, 회사소개서 등이고 전형방법은 서류전형으로서 합격자에 한하여 등록금 납부 안내 및 합격통지서 발송하며 등록금은 550만원(국내시찰 및 해외시찰 여행비용 별도) 이다.




                                                < 박갑주 교수 포토 갤러리 >

                                              < 박갑주 교수 포토 갤러리 >


                                     

      < 박갑주 교수 포토 갤러리 >

posted by 최고경영자과정
2015. 7. 20. 17:56 최고경영자과정 News

미래창조연구원(박갑주 원장)과 매일경제(매경닷컴 윤형식 대표)간에

미래창조 최고경영자과정 개설 업무협약 체결






지금까지 25년간 대기업체 임원 및 중소기업체 CEO 들을 1만명 이상 교육시킨 최고경영자과정 및 CEO 교육의 대명사 그리고 인맥의 달인인 미래창조연구원 박갑주 원장은 2015년 7월 15일 매일경제(매경닷컴) 윤형식 대표와 중소기업체 CEO들을 위한 미래창조 최고경영자과정 개설 업무협약을 체결하였다. 이에따라 ‘매일경제 미래창조 최고경영자과정’은 2015년 10월 8일에 제 1기 입학식을 거행할 예정이다.

모집인원은 50명이고 교육기간은 2015년 10월 8일(목) 부터 2016년 1월 21(목)까지이다. 교육은 강남 소재 호텔과 강남 선능역에 위치한 피에스타 귀족 VIP 연회장에서 매주 목요일 오후 6시~6시50분 식사에 식사 후, 7시에서 10시까지 강의가 진행될 에정이다.

교육대상은 공,사 기업체 최고경영자 및 임원, 정부기관 고위관리자, 군장성, 법조인, 전문인 등 사회 지도층 인사와 이와 동등한 자격을 갖추었다고 인정되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진행되는데 학력제한은 없다.

교수진은 정치, 경제, 사회, 문화, 경영, 산업, 학계의 저명인사 및 전문가가 진행하게 된다. 교육특징은 저명인사 및 전문가로 교수진을 편성하여 CEO의 글로벌 경영능력 함양과 인적 네트워크를 구축할 수 있는 차별화된 CEO 교육 프로그램이다.

본 최고경영자과정의 교육특징은 경영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산업 ․ 학계의 저명인사 및 전문가로 교수진 편성, 21세기 글로벌 경영환경에서 CEO의 핵심역량을 강화할 수 있는 교육 프로그램, 글로벌 리더십과 경영자에게 필요한 경영 Skill과 Tool을 체득시키는 교육내용 편성, 5단계(강의, 토론, 발표, 사례연구, 그룹스터디 프로젝트) 강의 방법으로 교육 진행, 리더십, 국제적 감각, 전략 경영, 변화 경영, 위기관리 등에 핵심역량을 강화한 프로그램, 국내․외 새로운 정치 ․ 경영 ․ 경제 분야 환경변화와 대응전략을 습득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다.

본 최고경영자과정의 교육특전은 매경미디어그룹 회장 명의의 수료패 수여, 매경닷컴 대표이사와 미래창조연구원 원장 명의의 수료증 수여, 매경 세계지식포럼 참가시 참가비 할인, 매경 MBN 오픈 골프대회 초대, 매일경제 온라인 기업홍보 자문, 매일경제 교육센터 교육 수강시 할인, 회사 직원 승진시험으로 매경 TEST 선정시 할인, 매경 미래창조CEO포럼 회원 가입 및 포럼시 초청, 100% 출석자 및 성적 우수자는 BEST CEO 인정서 수여, 수료후 매일경제 미래창조 최고경영자과정 동문회 회원자격 부여, 원우 기업체 탐방시 경영 성공사례 특강 우수자는‘명강사 인정서’수여, 동호회(골프, 승마, 드럼, 마술, 댄스, 와인, 등산 등) 활동 지원, 원우회, 동문회, 동호회 적극지원 및 원우간 인적 네트워크 연계, 수료후 동문 합동특강과 세미나 및 포럼에 초대 등이다.

교육 및 행사내용은 입학식, 강의, 인준식, 워크샵, 우정의밤, 동호회 활동, 단합대회, 원우 기업체 탐방, 해외시찰, 졸업여행, 수료식 등으로 진행된다.

강의 교수진은 윤형식(매경닷컴 대표이사), 박갑주(미래창조연구원 원장)​, 송승환(PMC프러덕션 대표), 윤종록(정보통신산업진흥원 원장), 이금룡(코글로닷컴 회장), 김은혜(MBN 앵커)​, 최은수(MBN 경제부장), 윤은기(한국협업진흥협회 회장), 엄길청(시사평론가, 경기대 교수), 신병철(스핑클그룹 대표), 송재용(서울대학교 경영대학 교수), 김영세(이노디자인 대표이사), 한관규(전 프랑스대사관 상무관), 엄용수(한국코미디언협회 회장), 김효준(BMW Korea 대표), 한정화(중소기업청장), 박성택(중소기업중앙회 회장), 김영익(한국창의투자자문 대표), 김광호(콤비마케팅연구원 원장), 조서환(프로매치코리아 회장), 지 니(프로마술사), 김성회(CEO리더십연구소 대표), 이봉원(윈컴피알 대표), 최재봉(성균관대 교수), 김경일(아주대 교수), 표현명(롯데렌탈 대표이사) 등 이다

주요 교육내용은 CEO를 성공으로 이끄는 5가지 파워, 디지털 컨버전스 시대의 신규 비즈니스 창출, 초연결 사회시대 NEXT 10년을 준비하라, 생각의 틀을 바꾸면 성공이 보인다, 스마트시대의 창조적 리더십, 글로벌 강소기업과 장수기업, Only One 정신과 가치 경영, 아날로그 성공모드, 창조혁명과 넥스트 패러다임, 성공하는 리더습관 - 마음이 바쁜 당신에게, 세상을 바꾸는 SNS와 스마트경영, 창조경제와 창조경영, 싱가폴 창조혁신의 현장시찰, 언론홍보의 방법과 대언론 관계 관리, 통찰모형 스핑클, 기업의 차별화 마케팅 전략, 쇼군 3인의 리더십과 경영전략, 중국 경제의 급속한 성장과 우리의 대응, 와인의 이해와 비즈니스, 세계경제 변혁에 따른 경제위기 극복, 핵심 경제이슈 환율비상 전망과 대응, 중국, 인도, 베트남 아시아 황금시장 투자전략, 경쟁력 제고와 지속성장을 위한 기업전략, 경쟁력 강화를 위한 기업혁신 전략, 디지털 시대의 글로벌 문화 콘텐츠, 혁신과 스피드를 통한 글로벌 경쟁력, 세계지식포럼을 통해 본 한국 경제의 현실, IT 융합기술과 스마트, 향후 국내외 경제전망과 기업의 대응방안, 한국 경제 전망과 리스크 예측, 비즈니스에 활용할 수 있는 마술 배우기, 원우 비즈니스 소개 및 기업 현장시찰 등 이다.

현재 매일경제 미래창조 최고경영자과정 1기를 모집중에 있으며 입학원서를 접수하는 방법은 우편, 팩스, 이메일로 모두 접수가 가능하다. 교육상담은 전화(02-577-4550),FAX(02-577-4118), 이메일(mkbestceo@daum.net)로 가능하며 서울 사무소는 ( [143-190] 서울시 광진구 아차산로 41길 4, 2층(자양동, 대경빌딩))에 소재하고 있다.

입학원서는 홈페이지(www.bestceo.kr)에서 다운받거나 우편으로 수령 희망시 교육행정실(Tel. 02-577-4550)로 연락 하면 된다. 제출서류는 입학원서(반명함판 사진 부착), 사업자등록증 사본, 재직증명서, 회사소개서 등이고 전형방법은 서류전형으로서 합격자에 한하여 등록금 납부 안내 및 합격통지서 발송하며 등록금은 490만원(국내시찰 및 해외시찰 여행비용 별도) 이다.


                             < 박갑주 주임교수 포토 갤러리 >


                          < 박갑주 주임교수 포토 갤러리 >


 < 박갑주 주임교수 포토 갤러리 >




posted by 최고경영자과정
2015. 7. 17. 18:24 성공CEO 경영전략

웹월드 인사이트 컨퍼런스 2015 

2015년 6월 16일(화) ~ 6월 19일(금) 4일간


* 2일차 강의만 하루종일 들어서 그 내용을 요약 정리함 





[제2일째 강의 필기]


제1강의 2015년 국내외 웹 비즈니스 트렌드 및 인사이트
- 이경진 경희대 교수


* 셀프 드라이빙 카는 기술은 가능하지만 사회적으로 허용되기는 쉽지 않을 것이다


* 렌트카회사에서는 회상으로 고객을 상담하는 것은 이미 상용화
- smart presence


* 사물 프레전스 트럭
- 원격으로 트럭을 운전하는 것... 이것은 사회적으로 허용하기 쉽지 않다 운전자가 원격으로 하는것이 위험할 수 있기 때문에 허용되지 않을 것이다


- 셀프 드라이빙카도 사회적으로 허용안된다
- 셀프 드라이빙카가 되려면 차선까지 센서들이 다 설치되어야 한다 그것을 자동차회사가 부담하는것이 아니다 
- 자동차회사는 일단 정부비용으로 연구도하고 소비자 들의 부담으로 연구는 하면서 새로운 모델을 개발이 가능하다


* 구글이 셀프 드라이빙카를 한 이유는 구글 애드센스 때문이다
- 사람의 시선이 욕망을 대신하기 때문에 구글 글래스도 하는 것이다
- 구글 글래스는 비대칭으로 디자인되어서 별로 성공하지못한 것이다
- 구글이 자꾸 셀프 드라이빙카나 구글 글래스를 하는 이유는 애드센스를 발전시키는 모델을 자꾸 개발할 수 밖에 없다


* Deep Learning 
- 딥러닝이 당장 세상을 바뀔 것이라고 생각하는 것은 오버이다


* 삼성전자은 아직 사물인터넷 분야에 대한 내용을 심각성을 모르고 있다
- 스마트홈, 스마트비즈니스의 킬러제품들이 이미 개발되어 있다는 것이 문제이다


* 예를 들어 메르스 격리환자에 전자발찌 같은 것을 채워서 관리하는 것도 한가지 대안이 될 수 있었을 것이다


* 빅데이터, 딥러닝, 빅스토리 등은 그다지...


* 커피 메이커도 사물인터넷으로


* 핀테크
- NFC 결제를 한다고해서 거래가 늘어나는 것은 아니다
- 돈 받을 사람이 금융정보를 제공해야 하는 것이 맞는 것인데 지금은 고객들이 신용카드를 주는 것
- 전자상거래의 페러다임이 변화될 것이다
- 이제는 돈을 받을 곳이 금융정보를 제공하는 방식으로



제2강의 O2O 환경에서 핀테크 사례 및 서비스 전략 
- 박민우 청강문화산업대 모바일스쿨 교수
  유니비스타 대표


* 금융의 본질은 안정성과 신뢰가 바탕이다
- 2007년 서브프라임 모기지, 리먼브러더스 사태 등으로 금융에 대한 신뢰가 무너졌다
- 미국에서 3천만명 실업자가 발생
- 금융권의 근본적인 문제 발생
- 이제는 은행도 못 믿겠다
- 그래서 금융권에 대한 개혁의 필요성 대두
- 그때부터 핀테크에 대한 거론이 시작됨


* 금융권기업의 특징
- 굉장히 보수적이다
- IT 기술에 대해 반감이 크다
- 기술이 발달할 수록 인원감축으로 이어지기 때문이다
- 최근 증권분야는 오프라인으로 거래하는 사람들이 거의없어져서 10년동안 50%이상 인원감축 
- 보안이슈를 계속 언급하면서 IT 기술에 대한 도입을 늦춰왔는데
- 이제는 고객들이 변했다 송금과 대출을 더이상 은행과거래하지 않겠다는 것이 가장 큰 특징


* 모바일 간편결제(?)
- 원래 모바일 결제는 공인 인증서없이 간편해야 하는데 그다지 간편하진 않다
- 돈을 내는 사람이 간편해야 하는 것이 상식인데 자꾸 돈 내는 고객에게 일을 시키는 것이 문제이다


* 왜 간편하지 않을까?
- 외국은 간편결제라는 말 자체가 없다
- 원래 결제는 결제와 모바일 결제가 있을 뿐


* 모바일은 간편결제화 되어 있어야 하는데...
- 모바일 결제의 원조도 사실은 2001년 모네타라는 SK텔레콤 도입 기기 도입에만 500억정도 비용투자 그러나 대 실패
- 지금도 충분히 간편결제인데 그당시에 성공하지 못했을까?
- 그당시 우리가 사용하는 간편결제 수단은 신용카드 온라인에서는 거의 결제를 하지 않음


* 스마트폰 베터리가 하루에 2번씩 충전으로해야 하는 것이 익숙해짐 습관의 변화
- 모네타가 2년전에만 나왔어도 나름 괜찮았을 것이다


* 카카오페이, 라인페이 등이 많이 나오긴 했다
- 가장 어려운 점은 이런 페이를 사용하기 위해서 먼저 등록을 해야 하는데 본인을 증명하는 것이 어렵다는 것이 문제
- 내가 '나'임을 증명하는것이 쉽지 않다는것이 간편결제의 문제점이다


*  송금을 하는 그 자체가 은행이 아니면 못하게 되어 있는 정책과 규제가 변하지 않으면 핀테크를 할 수가 없는 것이다
- 금융규제만 해결된다고 핀테크가 되는 것이 아니다 보안문제가 다시 대두
- 공인인증서 자체가 금융사고시 책임자가 본인이 되게 하는 것
- 카드를 도용하거나 부당하게 사용하는 경우가 외국에는 많다 그래서 외국은 사후 시스템을 발전시킨 것이다


* 부당거래 발생시 그 거래의 책임 누구에게 있는가?
- 이상거래 탐지 시스템
- 부당거래를 확인후 거래승인을 해주는방식


* 대규모 개인정보 유출은 내부인력에 의해서 발생
- 직원부터  더 잘 관리를해야 한다


* 가상화폐 비트코인
- 사이버머니인데 실물경제에 결제가 가능하도록
- 비트코인의 가장 큰 장점으로 누구의 소유도 아니라는 것이다
- 각국의 중앙은행과 달리 통화량 제어 불가능하다는 것 소유도 못하고 통화량 제어도 안되서 수수료 저렴, 환율문제, 자동거래가능, 익명거래도 가능
- 익명거래로 문제가 삼는경우가 많다


* O2O 커머스분야에서 비정형 구매 패턴 분석과 연계, 소비 패턴 분석
- 옴니채널과 연계되어야 시너지 효과


* 알리바바
- 2013년 기준 가입자 8억, 거래액 650조
- 충전해서 사용하는 전자지갑방식이라서 충전되어 있을 경우 그것을 펀드로 이동해서 투자이익이 발생하도록
- 인터넷 은행허가까지도 이미 받은 상태
- 그래서 무서운 속도로 앞서가는데 우리는 아직 못하고 있는 것이다


* 국내 핀테크 서비스는 아주 복잡... 해결이 어려움


* 경로의존성
- 그래서 누가 페이 시장을 선점하느냐가 중요한 것이다
- 애플이 스마트워치 결제가 경로의존성을 만들 수 있을 것인가
- 스마트폰으로 결제하는 것과 스마트워치는 좀 다른 것이 사실



제3강의 빅데이터 관점에서 본 2015년 웹 트렌드 및 인사이드 (빅데이터 기반의 변화 : 인지와 예측)
- 조성훈 딜로이트 상무



* 빅데이터와 빅데이터 주변 환경의 변화


* 빅데이터의 비즈니스 활용 관점의 변화


* 빅데이터를 통한 변화의 스트림 정리(인지와 예측)





* 지금의 빅데이터는 2012년부터 쌓이기 시작했다
- 그전에 있던 데이터들은 활용하기 어려웠지만 2010년부터는 엄청난 데이터가 쌓이고 있다



* 지금의 비즈니스 트렌드가 고객의 관점에서 컨버전스가 일어나고 있다
- 유통과 제조업은 이미 무너졌다
- 금융과 비금융산업, 유형과 무형이 산업들이 융합되기 시작했다
- 이제는 산업간의 구분이 거의 불필요한


* 무엇가 필요한 사람과 공급할 사람들이 만나서 해결할 것
- 리테일 분야의 빅데이터 활용도가 의외로 높지 않다
- 우리나라는 빅데이터에 대한 투자가 그다지 활발하지 않다
- 국내 공공분야에서 빅데이터에 대한 것은 주로 인력교육적인 측면과 어떻게 할지에대한 고민을 하는 중


* 우리나라는 대부분 따라가는 민족 예전에는 중국, 일본을 따라했고 그다음 미국이였는데 
지금은 먼저가야하는데 그것에 익숙하지 않은 편이라 아직도 빅데이터를 보고 있는 상황


* 이제는 일반인들도 데이터를 분석해서 활용할 수 있는
- 스스로 학습하고 성장해나가는 방식으로


* 고객이 다음에는 무엇을원할까가 가장 관심
- 고객의 행위를 예측하는것


*  Machine learning
- 만드는 시점의 그 엔진은 환경이 변하고 고객들이 변하면서 수정이 필요하다
- 계속 업데이트를 하는 것이 불가능하니까
- 분석되는 데이터를 스스로 학습을 해서 실시간으로 적용하는 방식
예) 로그인 하는 사람에 따라서 다른 제품을 보여주는 방식


* 고객을 함부로 한정하지 마라
- 성별, 연령, 연소득 정보 정도를 가지고 고객을 판단할 수 없다
- 우리나라의 국내 주 고객층은 72년 돼지띠 2차 베이비부머이다


* 백화점이 확장하던 시절 온라인 비즈니스에 대한 것을 미처 파악을 못함
- 온라인 몰이 이미 오프라인을 앞서나가는 시럴
- 쇼루밍 : 오프라인으로 물건을 다 확인하고 온라인으로 구입하는 문제
- 롯데백화점의 경쟁상대
: 신세계백화점에서 에버렌드 이제는 드론, 오큘러스 드래프트 
- 가상현실 오큘러스
- MS 버튼


* 온라인 채널 위주로  변화될 것이다
- 오프라인 매장으로 재설정을 해야 한다


* 온라인 비즈니스에서 호객행위가 불가능하다
- 고객의 니즈를 정확하게 집어서 제시 하지 않으면 절대 구매하지 않는다
- 고객들의 wants를 맞춰주지 않으면 살아남지 못한다
- 결국 경쟁은 더 심해질 것이다


* 고객을 알고 미래행동을 예측할 수 있다
- 나름 패턴들을 가지고 고객은 어느정도 예측이 가능하다 
- 꼭 정확하게 예측할 필요는 없다 선제적으로 예측할 수만 있으면 된다


제4강의 소셜 관점에서 본 2015년 웹 트렌드 및 인사이트
- 김중태 원장


http://ith.kr/w.ppt


* 소셜이라고 하면 페이스북이나 트위터만 생각해서는 안된다
- 트위터 페이스북은 전체의 큰 영향이 없다
- 모바일 뱅킹이 중요한 것이다
- 모바일 예약이 더 중요한 것이다
- 인간관계가 어떻게 바뀌는가가 중요하다


*2000년까지는 연하장을 보냈다 2002-3년에 문자보내기로
- 2000년까지는 메가패스 상품이존재하지 않았다
- 2001년말에 2천만가구가 메가패스로 초고속인터넷 사용
- 세상은 엄청나게 빠르게 변화한다
- 2002년까지 네이버를 잘 모르던 기업이다
- 2004년 미니홈피 열풍
- 2007년 트위터
- 2008년 페이스북 부터 소셜미디어 열품
- 2009년 아이폰이 나오면서 스마트폰 열풍으로


* 1년 1년이 다르다 
- 그것을 가지고 무엇을 할 것인가가 중요햐다
- 트위터, 페이스북 보다는 카톡을 더 많이 사용하니까 카톡으로 무엇을 할 것인지


* 2009년까지 전화로 했지만 이제는 카톡, 밴드로 소통한다는 것이 중요하다
- 스마트폰으로 소셜 친구들의 일상을 다 알 수 있다는것이 다른 점이다
- 사람들의 행동이 중요하다


* 1초만에 상황파악이 되는것은 이미지 뿐이다
- 2014년 기준



초록색이 크롬브라우져 이다




* 최근 급성장한 것이 텀블러, 핀터래스트 등이 다 사진 사이트이다


* 5감IT 시대
- 시각검색
- 카메라로 찍으면 바로 수식을 계산해주는 앱
- 수식이 복잡하니까


* 청각검색
- 음악검색


* 이미지를 찍어서 이미지로 검색하는
- 꽃이름 검색


* 자율주행자동차
- 벤츠, 아우디에서 자율주행자동차
- 교통사고율 저하
- 센서로 사고를 미리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
- 차량간 SNS 중요시
- 운전을 안해도 되니까 출근하면서 시간이 주어진다는것
- 무인자동차는 아니지만 자율주행자동차는 바로 실용화 될 것이다


* 음성인식 서비스
- 벌써 엘렉소


* 영국 데슬라
- 전기자동차 벳더리 해결
- 현대자동차가 우선 타격이 심하다
- 전기자동차는 엔진이 없다
- 그래서 앞 트렁크가 생기다
- 백만 자동차 업종이 사라질 것이다
- 테슬라 자동차르 사면 영국에서 무료 충전소를 사용 평생 자동차 연료비가 없어진다
- 영국이 도입이 되고 곧 우리나라도 도입이 될 것이다
- 원유값이 50% 하락하는 문제가 발생
- 정유업계도 다 망하게 된다


* 롯데 명동백화점이 30년동안 1위
- 2014년에 롯데면제점이 1위로 
- 중국관광객때문에 알리페이를 도입하면서 월 100억이 결제됨


* 국내 대학은 이미 다 바뀌고 있다
- 외국인 대학생이 엄청나게 많이 다니고 있다
- 연세대학교 101개 나라에서
- 우송대 172명 외국인 교수가 있다


* 국제적으로 사람을 사귀면서 쇼핑도 한다
- 웹접근성을 지켜야 한다


* 2014년 7월 pepper 손정의 회장 발표
- 로봇이 수단에서 목표로   
- 이제 나하고 소통이 되는  로봇(180만원)
  2015년 7월에 보급될 예정 인류의 역사를 새로 쓸 것이다
- 10만가지 직업을 순식간에 없앨 수 있다
- 애완동물도 거의 사라질 것이다
- 이제 사람이 아니라 로봇과 살아가는 시대가 올 것이다
- 로봇이 친구가 되는 시대 그것이 새로운 sns시대이다
- 일본에서 결혼을 못하는 젊은이가 너무 많음
- 사토리 세대
- 결혼에대한 강박관념이 있는 세대는 이미 지났다
- 이미 결혼에 대한 관심이 없다
- 유아용품 매장 자체가 다 전멸
- 이제 결혼은 하지 않는 시대
- 휴머노이드 시대는 정말 무서운 시대이다
- 어플만 들어가면 다 된다


*  개인간 금융
- 자기들끼리 만나서 돈을 바꾸는 것


* 공유 및 직거래
- 재고품도 다 판매가 가능
- 주택의 공유
- 공유경제의 문제는 세금이 없어진다는 것이다


* 영화는 한번밖에 안보니까
- 음악시장을 잡아야 한다
- 음악을 팔겠다는것이아니라 매일 들으니까 아이팟을 매일 들고 다니게 된다
- 가장 많이 보는 것을 잡는 것이


* 온 디멘드 경제
- 개인들이 다 생산하고 판매하고 거래하는 시대
- 개인 한명 한명이 관계를 이용해서 경제활동을 만들어 내는 시대


* 번역기로 동작하는지가 확인
- 웹접근성을 확인해야 한다


제5강의 커머스 관점에서 본 2015년 웹 트렌드 및 인사이트
- 고영 대표




* 신세계에서 유통을 옴니체널로 가고 있다고 하는데 
- 소셜커머스 중심으로 시장의 변화





- 유통구조가 변화
- 소셜커머스는 작지만 강력한 업체들을 꾸준히 발굴
- 할인마트나 백화점에서는 어려운 구조
- 홈쇼핑까지 다 뛰어들어서 총 누적 3500만명이 하루 방문하는 방식으로


* 기존의 커머스에서 대기업이 못하는 것들을 각종 실험들이 일어나면서 발전하고 있다
- 메르스 때문에 유통업체들이 다 타격을 받고 있는데 소셜커머스 분야는 오히려 성장


* 이미 검색시장은 네이버가 85% 장악, 나머지 다음
- 소셜커머스도 검색시장과 비슷해 질 것이다


- 빅데이터는 6개월 이상을 반영하기 어렵다



* 가격도 중요하지만 위치와 시간도 결정에 큰영향을 줌
- cj택배에서 당일 배송체제로 바꿈
- 구매 행위가 야간에도 구매하고 모여서 구매하기도 하고 계속 변화


* 소셜커머스 탄생 수토리
- 휴대폰 계약 해지하는데 모여서 하고자 하다가 구루폰이 나오고



- 직관적인 사이트를 만들어야한다



* 대기업들이 참여하는 소셜커머스
- 쇼캉딜, 올킬


* 원래 소셜커머스는 광고를 하지 않고 소셜을 활용하는 것이였는데 국내에서는 광고를 쏟아내면서 고객을 끌어오는 방식으로


* 소셜커머스 15% 이상 27%까지도
- 매출이 높은 업체는 결제다 빨리 해주는 식이다


* 2015년 소셜 커머스 분류 모델




* 아직은 가격할인이 중요
- 소셜커머스를 대하는 소비패턴이 완전히 바뀜
- 아예 소셜커머스에 일정금액을 넣어놓고 쓰는 고정고객들이  늘어났다


* 직관적, 빠르게, 쉽게 거기다 당일배송까지
- 쿠팡이 가장 확실 이미 1위로 자리를 잡았다


* GS샵이 아주 잘하고 있다
- 2014년 8000억 매출
- 기존 유통기업보다는 홈쇼핑들이 다 잘하고 있다
- 구매는 앱으로 하는 형태로


* 기존 온라인 기업 G마켓이나 인터파크 등은 별로 바뀌지 않았는데 소셜커머스 사이트들은 엄청나게 변화하고 있다 
- 주로 모바일에서 
- 소구력이 큰 제품을 집중적으로 보여주는 방식으로 너무 많은 제품을 보여주지 않는다


* 오픈마켓도 모바일로 변화


* GS샵
- 심플 앤 이지




* 아마존의 영업이익은 10% 내외
- 계속 버티는 것이다
- 누가 한국의 아마존이 될 것인가?


* 쿠팡이 캄시 인수
-  쿠팡맨이 당일배송 365일 배송
- 그냥문자를 주고 받는 것이 아니다
- 자료가 점점 쌓이고 관계가 쌓이면 
- 1000대 차량으로 매일배송
- 물류센터 3만평에 인천에 만듬 중국 직구를 할 것이다
- 8개 물류센터를 16개 물류센터로
- 쿠팡의 경쟁상대는 소셜커머스를 넘어서 대형마트까지
- 거래액이 2015년에는 2조원까지 갈 것이다
- 농협과 제휴
- 추석때부터 할 것이다
- 그래서 손정의가 1조원을 투자한 것이다
- 쿠팡이 전세계 전자상거래의 모델을 제시할 것이다


* 티몬은 자제개발 제품에 집중


* 실시간, 온오프믹스가 주요 키워드


* 이제 소셜커머스가 O2O커머스이다


* 구글 트렌드
- 1년치를 다 분석해서 큐레이션을 바꿔가는  것이다
- 특정 시점에 매출을 극대화


* 위메프는 B2B 시장 확대


* 이미 치킨게임이다
- 제품이 90% 겹치다



















posted by 최고경영자과정

홈페이지 : www.bestceo.kr

                          

매일경제 미래창조 최고경영자과정 제1기 모집

1. 교육개요
 - 모집인원 : 50명
 - 교육기간 : 2016년 3월 17일(목) ~ 6월 30일(목)
 - 교육일시 : 매주 목요일 강의(오후 6시~6시50분 식사, 7시~10시 강의)
 - 교육대상 : 공,사 기업체 최고경영자 및 임원, 정부기관 고위관리자, 군정성, 법조인, 전문인 등
               사회 지도층 인사, 이와 동등한 자격을 갖추었다고 인정되는 분(학력제한 없음)
 - 교육장소 : 리버사이드 호텔 (강남 신사역)
 - 교수진 : 경영, 정치, 경제, 사회, 문화, 산업, 학계의 저명인사 및 전문가
 - 교육특징 : 저명인사 및 전문가로 교수진을 편성하여 CEO의 글로벌 경영능력 함양과 인적 네트워트를
               구축할 수 있는 차별화된 CEO 교육 프로그램!

2. 모집요강
 - 입학원서 접수방법 : 우편, 팩스, 이메일 접수 모두 가능
    문의전화 : 02-577-4550, 팩스 : 02-577-4118, 이메일 : mkbestceo@daum.net
    주소 : [143-190] 서울시 광진구 아차산로 41길 4, 2층(자양동, 대경빌딩)
     ※ 입학원서는 첨부파일을 다운로드 받으시면 됩니다
 매경 미래창조 최고경영자과정 입학원서.hwp

 - 제출서류 : 입학원서(반명함판 사진 부착), 사업자등록증 사본, 재직증명서, 회사소개서

 - 전형방법 : 서류전형 (합격자에 한하여 등록금 납부 안내 및 합격통지서 발송)

 - 등록금 : 490만원 (국내시찰 및 해외시찰 여행비용 별도)


3. 교육특징

 - 경영, 정지, 경제, 사회, 문화, 산업, 학계의 저명인사 및 전문가로 교수진 편성

 - 21세기 글로벌 경영환경에서 CEO의 핵심역량을 강화할 수 있는 교육 프로그램

 - 리더십, 국제적 감각, 전략 경영, 변화 경영, 위기관리 등에 핵심역량을 강화한 프로그램

 - 국내외 새로운 정치, 경영, 경제 분야 환경변화와 대응전략을 습득할 수 있는 프로그램


4. 교육특전

 - 매경미디어그룹 회장 명의의 수료패 수여

 - 매경닷컴 대표이사와 미래창조연구원 원장 명의의 수료증 수여

 - 매경 MBN 오픈 골프대회 초대

 - 매일경제 온라인 기업홍보 자문

 - 매일경제 교육센터 교육 수강시 할인

 - 회사 직원 승진시업으로 매경 TEST 선정시 할인

 - 매경 미래창조CEO포럼 회원 가입 및 포럼시 초청

 - 100% 출석자 및 성적 우수자는 BEST CEO 인정서 수여

 - 수료후 매일경제 미래창조 최고경영자과정 동문회 회원 자격 부여

 - 원우 기업체 탐방시 경영 성공사례 특강 우수자는 '명강사 인정서' 수여

 - 동호회(골프, 승마, 드럼, 마술, 댄스, 와인, 등산 등) 활동 지원

 - 원우회, 동문회, 동호회 적극지원 및 원우간 인적 네트워크 연계

 - 수료 후 동문 합동특강, 세미나, 포럼에 초대


5. 교육내용

 - 입학식, 강의, 인준식, 워크샵, 우정의밤, 동호회 활동, 단합대회, 원우 기업체 탐방, 

   해외시찰, 졸업여행, 수료식 등으로 교육진행


  < 교수진 >

 • 김상훈 (서울대 경영대학 교수)

 • 이상용 (뽀빠이, 방송인)

 • 윤은기 (前 서울과학종합대학원대학교 총장, 前 공무원교육원 원장)

 • 엄길청 (시사평론가, 경기대 교수)

 • 박갑주 (미래창조연구원 원장)

 • 최은수 (MBN 경제부장, 前 매경 세계지식포럼 팀장)​

 • 김은혜 (MBN 앵커)​​​​

 • 조서환 (프로매치코리아 회장, 前 KTF 부사장)

​​​ • 주영섭 (중소기업청장)

 • 표현명 (롯데렌탈 대표이사, 前 KT 대표이사)

 • 신병철 (스핑클 그룹 대표)

 • 최재붕 (성균관대 교수)

 • 장용동 (헤럴드경제 대기자)

 • 김성회 (CEO리더십연구소 대표)

 • 김경일 (아주대 교수)

 • 이봉원 (윈컴피알 대표)

 • 김영익 (한국창의투자자문 대표)

 • 신순철 (휴리넷경영연구소 소장)

​​ • 김민수 (한국부동산자산관리사협회 회장)

 • 서한정 (한국와인협회 회장)​​​​​


 ※ 상기 초빙 교수진은 기별 커리큘럼으로 확정되며 교수 및 교육일정상 조정될 수 있습니다.

 

<주요 교육내용>

• CEO를 성공으로 이끄는 5가지 파워

• 디지털 컨버전스 시대의 신규 비즈니스 창출

• 초연결 사회시대 NEXT 10년을 준비하라

• 생각의 틀을 바꾸면 성공이 보인다

• 스마트시대의 창조적 리더십

• 글로벌 강소기업과 장수기업

• Only One 정신과 가치 경영

• 아날로그 성공모드

• 창조혁명과 넥스트 패러다임

• 성공하는 리더습관 - 마음이 바쁜 당신에게

• 세상을 바꾸는 SNS와 스마트경영

• 창조경제와 창조경영

• 싱가폴 창조혁신의 현장시찰

• 언론홍보의 방법과 대언론 관계 관리

• 통찰모형 스핑클

• 기업의 차별화 마케팅 전략 

• 쇼군 3인의 리더십과 경영전략

• 중국 경제의 급속한 성장과 우리의 대응

• 와인의 이해와 비즈니스

• 세계경제 변혁에 따른 경제위기 극복

• 핵심 경제이슈 환율비상 전망과 대응

• 중국, 인도, 베트남 아시아 황금시장 투자전략

• 경쟁력 제고와 지속성장을 위한 기업전략

• 경쟁력 강화를 위한 기업혁신 전략

• 디지털 시대의 글로벌 문화 콘텐츠

• 혁신과 스피드를 통한 글로벌 경쟁력

• 세계지식포럼을 통해 본 한국 경제의 현실

• IT 융합기술과 스마트

• 향후 국내외 경제전망과 기업의 대응방안

• 한국 경제 전망과 리스크 예측

• 비즈니스에 활용할 수 있는 마술 배우기

• 원우 비즈니스 소개 및 기업 현장시찰



 [ 박갑주 주임교수 포토 갤러리]


 



posted by 최고경영자과정
WEB WORLD CONFERENCE 2015

해마다 진행되는 웹 컨퍼러스로 2번 참여했었는데 내용이 충실하고 좋았던 것으로 기억되네요

다만 4일동안 진행되니 직장을 다니는 사람은 4일내내 참석하기 쉽지 않을 것 같네요


하지만 서비스 전략과 마케팅 전략 부분은 꼭 참석보고 싶네요

한꺼번에 정리하는데는 아주 좋은 기회가 될 것 같다는


http://www.bizdeli.com/webworldinsight/index.asp


 
16일
[웹개발 전략]
17일
[서비스 전략]
18일
[디자인 전략]
19일
[마케팅 전략]
1
10:00~10:40
2015년 국내외 IT 트렌드 및 인사이트2015년 국내외 웹 비즈니스 트렌드 및 인사이트2015 사용자 중심 디자인 트렌드와 UX 인사이트2015년 국내외 인터넷 마케팅 트렌드 및 인사이트
조만영 이사
미래웹기술연구소
이경전 교수
경희대
윤명환 교수 
서울대
임현태 이사
캐러트코리아
Coffee Network
2
10:50~11:30
빅데이터 관점에서 본 2015년 웹개발 트렌드 및 인사이트핀테크 및 신기술 관점에서 본 2015년 웹 트렌드 및 인사이트크리에이티브 관점에서 본 2015년 웹디자인 트렌드 및 인사이트빅데이터 관점에서 본 2015년 인터넷 마케팅 트렌드 및 인사이트
심탁길 리더
쿠팡
박민우 교수
청강대 모바일스쿨
손원혁 국장
오리콤
김형진 매니저
SK텔레콤
Lunch Network
3
13:10~13:50
웹표준 및 웹접근성 관점에서 본 2015년 웹개발 트렌드 및 인사이트빅데이터 관점에서 본 2015년 웹 트렌드 및 인사이트사물인터넷(Iot) 관점에서 본 2015년 UX 트렌드 및 인사이트소셜 관점에서 본 2015년 인터넷 마케팅 트렌드 및 인사이트
김도연 대표
시도우
조성훈 상무
딜로이트
이지현 교수
서울여대
조애경 프로
제일기획
Coffee Network
4
14:00~14:40
HTML5 관점에서 본 2015년 웹개발 트렌드 및 인사이트소셜 관점에서 본 2015년 웹 트렌드 및 인사이트서비스 관점에서 본 2015년 웹디자인 트렌드 및 인사이트고객 타겟마케팅 관점에서 본 2015년 인터넷 마케팅 트렌드 및 인사이트
이준호 과장
NHN Technology Services
김중태 원장
IT문화원
장용훈 본부장
메가존
김동욱 과장
넷스루
Coffee Network
5
14:50~15:30
javascript 관점에서 본 2015년 웹개발 트렌드 및 인사이트커머스 관점에서 본 2015년 웹 트렌드 및 인사이트브랜드와 아이덴터티 관점에서 본 2015년 웹디자인 트렌드 및 인사이트동영상 마케팅 관점에서 본 2015년 인터넷 마케팅 트렌드 및 인사이트
권병철 과장
사이냅소프트
고영 대표
SCG
김민호 대표
디자인팝
이동재 대표
엔톰
Coffee Network
6
15:40~16:20
클라우드 관점에서 본 2015 웹 개발 트렌드 및 인사이트스마트디바이스 및 웨어러블 디바이스 관점에서 본 2015년 웹 트렌드 및 인사이트웨어러블 디바이스 관점에서 본 2015년 웹디자인 트렌드 및 인사이트모바일 마케팅관점에서 본 2015년 인터넷 마케팅 트렌드 및 인사이트
안명호 대표
MHR
김석기 대표 
모폰웨어러블스
나대열 대표
Andy UX Lab
김유진 팀장
아모레퍼시픽
Coffee Network
7
16:30~17:10
오픈 API 관점에서 본 2015년 웹개발 트렌드 및 인사이트모바일 게임 관점에서 본 2015년 웹 트렌드 및 인사이트데이터 관점에서 본 2015년 웹디자인 트렌드 및 인사이트온라인 쇼핑몰 관점에서 본 2015년 인터넷 마케팅 트렌드 및 인사이트
옥상훈 부장
네이버
김윤상 대표
게임넥스트웍스
송한나 대표
COGNITUM
문유미 팀장
롯데닷컴
Coffee Network
8
17:20~18:00
웹보안 관점에서 본 2015년 웹개발 트렌드 및 인사이트사물인터넷(Iot) 관점에서 본 2015년 웹 트렌드 및 인사이트방법론과 프로세스관점에서 본 2015년 웹디자인 트렌드 및 인사이트O2O 마케팅 관점에서 본 2015년 인터넷 마케팅 트렌드 및 인사이트
김경곤 부장
딜로이트
박연익 연구원 
KT경제경영연구소
금윤정 이사
바이널
김형석 매니저
SK플래닛


16일[웹개발 전략]
1세션
10:00~10:40
2015년 웹개발 트렌드 및 인사이트 

조만영 이사
미래웹기술연구소
Break Time
2세션
10:50~11:30
빅데이터 관점에서 본 2015년 웹개발 트렌드 및 인사이트

심탁길 리더
쿠팡
Lunch Time
3세션
13:10~13:50
웹표준 및 웹접근성 관점에서 본 2015년 웹개발 트렌드 및 인사이트 

김도연 대표
시도우
Break Break
4세션
14:00~14:40
HTML5 관점에서 본 2015년 웹개발 트렌드 및 인사이트
1 HTML5 시장 및 기술 현황
Desktop과 Mobile 별로 살펴보는 HTML5 지원 현황
Desktop과 Mobile 별로 살펴보는 HTML5 적용 현황

2. HTML5 적용 사례 분석
Desktop
Mobile

3. 사용자의 입장에서 기대되는 HTML5
Video, Audio
Canvas ( WebGL )

4 개발자의 입장에서 주목할 HTML5
모바일, 웨어러블 디바이스 환경에서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제공하는 웹앱으로서의 HTML5.


이준호 과장
NHN Technology Services
Break Time
5세션
14:50~15:30
javascript 관점에서 본 2015년 웹개발 트렌드 및 인사이트

권병철 과장
사이냅소프트
Break Time
6세션
15:40~16:20
클라우드 관점에서 본 2015 웹 개발 트렌드 및 인사이트 
클라우드와 IoT의 궁극적 목적지? 웹!!! 
1. 무엇을 위한 클라우드인가?
2. IoT와 클라우드, 그 끈적끈적한 관계
3. 이것은 혁명, 오픈소스 하드웨어 아두이노
4. 날개를 단 IoT
5. IoT의 전개는 어떻게?
6. IoT와 클라우드 그리고 Accessibility 
7. 결론은 웹


안명호 대표
MHR
Break Time
7세션
16:30~17:10
오픈 API 관점에서 본 2015년 웹개발 트렌드 및 인사이트

옥상훈 부장
네이버
Break Time
8세션
17:20~18:00
웹보안 관점에서 본 2015년 웹개발 트렌드 및 인사이트

김경곤 부장
딜로이트
17일[서비스 전략]
1세션
10:00~10:40
2015년 국내외 웹 비즈니스 트렌드 및 인사이트

이경전 교수
경희대
Break Time
2세션
10:50~11:30
핀테크 및 신기술 관점에서 본 2015년 웹 트렌드 및 인사이트
(부제: O2O 환경에서 핀테크 기술 사례 및 서비스 전략)
1. 최근 국내외 핀테크 동향
핀테크 개념과 시장 분류
애플, 아마존, 이베이, 알리바바 동향
삼성전자, 다음카카오, 네이버 및 금융권 동향

2. O2O 환경에서 핀테크 서비스 전략
모바일 지급결제 서비스 동향
 O2O 환경에서 모바일 지급결재 전략 
가상화폐 비트코인과 모바일 지급결제

3. 향후 핀테크 시장 전망
핀테크 스타트업 동향 및 전망
국내 핀테크 활성화 전략


박민우 교수
청강문화산업대
Lunch Time
3세션
13:10~13:50
빅데이터 관점에서 본 2015년 웹 트렌드 및 인사이트

조성훈 상무
딜로이트
Break Break
4세션
14:00~14:40
소셜 관점에서 본 2015년 웹 트렌드 및 인사이트

김중태 원장
IT문화원
Break Time
5세션
14:50~15:30
커머스 관점에서 본 2015년 웹 트렌드 및 인사이트 

고영 대표
SCG
Break Time
6세션
15:40~16:20
스마트디바이스 및 웨어러블 디바이스 관점에서 본 2015년 웹 트렌드 및 인사이트
1. 스마트 및 웨어러블 디바이스 2015년 트렌드
2. 스마트 및 웨어러블 디바이스 경쟁 현황
3. 스마트 및 웨어러블 디바이스 시장의 미래


김석기 대표
모폰웨어러블스
Break Time
7세션
16:30~17:10
모바일 게임 관점에서 본 2015년 웹 트렌드 및 인사이트

김윤상 대표
게임넥스트웍스
Break Time
8세션
17:20~18:00
사물인터넷(Iot) 관점에서 본 2015년 웹 트렌드 및 인사이트

박연익 연구원
KT경제경영연구소
18일[디자인 전략]
1세션
10:00~10:40
2015 사용자 중심 디자인 트렌드와 UX 인사이트 
사용자 중심 설계의 개념과 발전 트랜드 : 관찰과 경험 그리고 Context
1. 사용자중심 설계 - 기술의 정의
2. 사용자 중심 설계의 역사와 기본철학
3. UCD 의 현재와 발전 트랜드
4. UCD 기술의 연구 경향 분석
5. UCD 기술의 발전 방향 


윤명환 교수
서울대
Break Time
2세션
10:50~11:30
크리에이티브 관점에서 본 2015년 웹디자인 트렌드 및 인사이트

손원혁 국장
오리콤
Lunch Time
3세션
13:10~13:50
사물인터넷(Iot) 관점에서 본 2015년 UX 트렌드 및 인사이트
1. IoT UX 디자인의 이해
UX Design vs. IoT UX Design

2. IoT 서비스를 위한 UX 디자인
IOT UX Design의 현재
IOT UX Design의 핵심 고려사항
IOT Platform Design
IOT Conceptual Model, Productization
IOT Service Design, Interusability

3. IoT 서비스를 위한 UX 디자인 방법
IoT의 UX Design의 특징과 기존 디자인 방법의 한계
IoT UX Design에 적합한 Methods & Tools


이지현 교수
서울여대
Break Break
4세션
14:00~14:40
서비스 관점에서 본 2015년 웹디자인 트렌드 및 인사이트

장용훈 본부장
메가존
Break Time
5세션
14:50~15:30
브랜드와 아이덴터티 관점에서 본 2015년 웹디자인 트렌드 및 인사이트

김민호 대표
디자인팝
Break Time
6세션
15:40~16:20
웨어러블 디바이스 관점에서 본 2015년 웹디자인 트렌드 및 인사이트
Wearable Device관점에서 본 UX Insight 공유
1. Wearable의 최근동향
2. Wearable과 관련한 UX트랜드
3. Wearable UX의 최근 관심사
4. Wearable내에서의 근미래의 발전방향


나대열 대표
Andy UX Lab
Break Time
7세션
16:30~17:10
데이터 관점에서 본 2015년 웹디자인 트렌드 및 인사이트

송한나 대표
COGNITUM
Break Time
8세션
17:20~18:00
방법론과 프로세스관점에서 본 2015년 웹디자인 트렌드 및 인사이트

금윤정 이사
바이널
19일[마케팅 전략]
1세션
10:00~10:40
2015년 국내외 인터넷 마케팅 트렌드 및 인사이트

임현태 이사
캐러트코리아
Break Time
2세션
10:50~11:30
빅데이터 관점에서 본 2015년 인터넷 마케팅 트렌드 및 인사이트 

김형진 매니저
SK텔레콤
Lunch Time
3세션
13:10~13:50
소셜 관점에서 본 2015년 인터넷 마케팅 트렌드 및 인사이트
1. sns 이용 현황

2. 페이스북 마케팅 트랜드 & 인사이트
1) 페이스북 이용 행태의 변화
큐레이션 콘텐츠 플랫폼化
모바일 소비에 의한 콘텐츠 변화
2) 페이스북 마케팅의 변화
이벤트보다 콘텐츠?
SNS를 위한 브랜드 콘텐츠 특성
 PR 채널로써의 SNS 

3. SNS 이용 변화 : 관심사 네트워킹 
인스타그램 (폴라)


조애경 프로
제일기획
Break Break
4세션
14:00~14:40
고객 타겟팅 관점에서 본 2015년 인터넷 마케팅 트렌드 및 인사이트 
1. 소비자 데이터, 디지털
디지털 키워드 변화, 혁신
빅플레이어 동향
고객분석, 모바일과 전자상거래

2. 소비자 행동분석
구매행동 모델
온라인 고객 특성
Case Study : 고객 타겟팅, 개인화 추천 등

3. 기회창출
타겟 고객과 타겟팅 메시지
고객 니즈에 맞는 UI


김동욱 과장
넷스루
Break Time
5세션
14:50~15:30
동영상 마케팅 관점에서 본 2015년 인터넷 마케팅 트렌드 및 인사이트 

이동재 대표
엔톰
Break Time
6세션
15:40~16:20
모바일 마케팅관점에서 본 2015년 인터넷 마케팅 트렌드 및 인사이트 

김유진 팀장
아모레퍼시픽
Break Time
7세션
16:30~17:10
온라인 쇼핑몰 관점에서 본 2015년 인터넷 마케팅 트렌드 및 인사이트 

문유미 팀장
롯데닷컴
Break Time
8세션
17:20~18:00
O2O 마케팅 관점에서 본 2015년 인터넷 마케팅 트렌드 및 인사이트

김형석 매니저
SK플래닛


posted by 최고경영자과정
2015. 5. 18. 13:19 컨퍼런스 & 세미나 정보

웨어러블 테크비전 세미나 2015

산학연 전문가가 참여하는 본 세미나에서는 웨어러블 최신 동향과 시장 전망, 전자직물기반 패션 웨어러블, 스마트워치를 통해서 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진화와 전망, 헬스케어 웨어러블의 최신 동향과 주요 이슈, 웨어러블 디바이스 분야의 특허전략, 웨어러블 디바이스 UX전략과 디자인 인사이트 등 웨어러블 분야별 최신 동향과 시장 대응 전략을 수립하는데 실제적인 도움이 될 다양한 주제 발표가 있을 예정입니다.


[문구1]
웨어러블 최신 동향과 분야별 전망 http://goo.gl/isuHwU[05/28 웨어러블 테크비전 세미나 2015] #techforumkr #웨어러블 #사물인터넷 #devKr #venkr #CEOHOUSE

[문구2]
웨어러블 분야별 동향과 비즈니스 전략(스마트워치/패셔노이드/웨어러블/특허전략/UX디자인) http://goo.gl/isuHwU[05/28 웨어러블 테크비전 세미나 2015] #techforumkr #웨어러블 #사물인터넷



posted by 최고경영자과정
2015. 4. 26. 19:58 컨퍼런스 & 세미나 정보

사물인터넷을 위한 스마트센서 적용사례와 기술전망 [05/07 스마트 센서 테크비전 세미나 2015]


국내 전문 연구소와 업체가 참여하는 본 세미나에서는 스마트 센서 응용분야별 국내/외 현황 및 산업전망, 웨어러블 센서, 사물인터넷 환경 센서, 이미지 센서, 헬스케어/ 피트니스 센서, 스마트카 센서 등 스마트 센서 분야별 동향과 시장 대응 전략을 수립하는데 실제적인 도움이 될 다양한 주제 발표가 있을 예정입니다.


모임기간 : 57일 (목) 1000분 ~ 1700

장소 : 상암동 중소기업 DMC타워 3층 대회의실

http://onoffmix.com/event/45229



posted by 최고경영자과정